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22

주택임대소득에서 주택 보증금 간주임대료의 관련법령, 총수입금액 산입 요건, 계산방법 주택임대소득에서 주택 보증금 간주임대료의 관련법령, 총수입금액 산입 요건, 계산방법에 대해서 포스팅해봅니다.주택을 임대할 때 받은 보증금에 대해 일정 요건을 충족하면 간주임대료를 계산해 총수입금액에 포함해야 합니다. 이 글에서는 관련 법령, 산입 요건, 계산 방법까지 자세히 정리해드립니다.간주임대료란 임차인으로부터 받은 보증금이나 임대보증금을 운용해 얻을 수 있는 이자 수익을 추정하여, 실제 수익이 없더라도 일정한 수입으로 간주해 임대소득에 포함시키는 제도입니다. 1. 주택의 간주임대료 관련 법령 (1) 소득세법 제25조 (총수입금액 계산의 특례) (2)소득세법 시행령 제53조 (총수입금액계산의 특례) (중간 생략) 2. 2024년 귀속 주택 보증금에 대한 간주임대료 (1) 주택 간주임대료의 .. 2025. 7. 24.
소형주택 임대사업자에 대한 세액 감면-요건, 과세특례 내용, 감면신청 소형주택 임대사업자에 대한 세액 감면 에 대한 글입니다. 소형주택을 임대하는 사업자라면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절호의 기회가 있습니다. 감면 요건부터 신청 절차까지 꼼꼼히 살펴보세요.소형주택 임대사업자는 전용면적 40㎡ 이하, 기준시가 3억 원 이하의 주택을 임대하는 사업자로, 주택임대소득이 발생하는 경우 일정 요건을 갖추면 소득세 및 법인세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1.감면요건 (1) 임대사업자 (2) 임대주택 (3) 임대주택 수 및 임대기간 2. 과세특례 내용 (1) 세액감면 (2) 감면배제 3. 감면신청4. 참고 링크 및 관련 제도 1.감면요건(1) 임대사업자 : 내국인으로 다음 요건을 모두 충족 (조세특례제한법§96,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96)요건 - 사업자등록 : 「소득.. 2025. 7. 22.
주택 임대 소득의 기본 정보와 주택 수 과세 개요 주택 임대 소득의 기본 정보와 주택 수 과세 개요에 대해 정리합니다. 주택을 소유하고 임대를 통해 수익을 얻는 분이라면 주택임대소득과 주택 수 계산 방식에 대해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합니다. 2020년부터 주택임대소득에 대한 과세 기준이 강화되었으며, 주택 수에 따라 과세 여부와 세율이 달라지므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주택임대소득의 개념부터 주택 수 계산 방법까지 상세히 설명드립니다. 1. 주택임대소득이란?2. 주택의 정의 1) 「주택」이란 상시 주거용(사업을 위한 주거용의 경우는 제외)으로 사용하는 건물로 주택부수토지*를 포함 2) 부가가치세가 과세되는 사업용 건물이 함께 설치되어 있는 경우3. 주택 수의 계산 1) 다가구주택 2) 공동소유 3) .. 2025. 7. 21.
양도소득세 법정 신고기한 ,신고시 준비서류 및 신고·납부 정리 양도소득세 법정 신고기한 ,신고시 준비서류 및 신고·납부에 대한 글을 정리합니다.양도소득세는 부동산, 주식, 분양권 등의 자산을 양도함으로써 발생하는 소득에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정확한 신고기한을 지키지 않으면 가산세가 발생하므로, 소득의 종류에 따라 예정신고와 확정신고 기한을 정확히 구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양도소득세 법정 신고기한 1. 양도소득세 신고기한의 기본 구조 2.양도소득세 법정 신고기한 3. 예정신고와 확정신고의 차이점 2. 신고시 준비서류 및 신고·납부 (요약) 1. 준비서류 : 신고시 부속서류(해당되는 서류재출) 2.신고·납부기한 3. 신고장소 4. 세금납부 1.양도소득세 법정 신고기한1. 양도소득세 신고기한의 기본 구조 > 예정신고기한 : 자산 양도일이 속한 달의.. 2025. 7. 20.
2025년 양도소득세법 시행령 주요 개정사항 및 개정안 2025년 시행되는 양도소득세법 시행령 주요 개정사항 및 양도소득세법 개정안은 1세대 1주택자, 다주택자, 임대사업자에게 중요한 변화를 가져옵니다. 아래에서는 ㅅ개정안의 주요 내용과 적용 시기를 정리했습니다.1. 2025년 양도소득세법 시행령 주요 개정사항1. 주택에서 주택 외 용도로 변경 후 양도한 건물의 양도소득세 과세기준 합리화(소득령 §154① · §159의4) - 1세대 1주택 비과세 및 장기보유특별공제(최대 80%) 적용시 1주택 여부 판정 기준 시점: 주택 양도일신설 매매계약에 따라 주택에서 상가 등 주택 외 용도로 변경한 경우 매매계약일 - (개정이유) 과세기준 합리화- (적용시기) ’25.2.28. 이후 매매계약을 체결하여 양도하는 분부터 적용 2. 장기임대주택 보유자의 거주주택 양도소.. 2025. 7. 19.
양도소득세 과세대상, 과세대상 양도 범위, 비과세, 감면 등 절세 노하우 총정리 양도소득세 과세대상, 과세대상 양도 범위, 비과세, 감면 등 절세 노하우 에 대해서 포스팅 해봅니다. 양도소득세는 부동산, 주식, 기타 자산을 팔아서 생긴 이익(양도차익)에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부동산, 주식 등 재산을 팔 때 반드시 알아야 할 양도소득세(양도세)의 개념과 절세 노하우를 상세히 정리했습니다. 1. 양도소득세란?양도소득세란 개인이 토지, 건물 등 부동산이나 주식등과 파생상품의 양도 또는 분양권과 같은 부동산에 관한 권리를 양도함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이익(소득)을 과세대상으로 하여 부과하는 세금을 말합니다.양도소득세는 과세대상 부동산 등의 취득일부터 양도일까지 보유기간 동안 발생된 이익(소득)에 대하여 일시에 양도시점에 과세하게 됩니다따라서 부동산 등의 양도로 인하여 소득이 발생하지 않.. 2025. 7. 18.
반응형